2025년 말로 청년도약계좌의 세제 혜택이 종료되고, 2026년부터는 새로운 금융상품인 청년미래적금이 도입될 예정입니다. 기존 상품과의 차이점, 가입 대상, 혜택 등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청년도약계좌 종료
- 2025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세제 혜택 종료
- 올해까지만 신규 가입 가능
2. 청년미래적금 주요 특징
- 가입 대상: 만 19~34세, 연 소득 6,000만 원 이하 근로자 및 연 매출 3억 원 이하 자영업자
- 납입 기간: 최대 3년
- 월 납입 한도: 최대 50만 원
-
정부 매칭 혜택:
- 일반형: 납입액의 6% 지원 (연 12% 수준 효과)
- 우대형: 중소기업 신규 입사자 대상, 납입액의 12% 지원 (연 16.9% 수준 효과)
- 세제 혜택: 이자소득 비과세
3. 기존 가입자 전환 여부
-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까지만 신규 가입 가능
- 정부에서 청년미래적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예정
4. 비교표
항목 | 청년도약계좌 | 청년미래적금 |
---|---|---|
운영 기간 | 2025년 종료 | 2026년 시작 |
가입 대상 | 만 19~34세 청년 | 만 19~34세, 소득/매출 기준 충족 |
납입 기간 | 5년 | 3년 |
월 납입 한도 | 70만 원 | 50만 원 |
정부 매칭 | 연 9% 수준 | 일반형 6%, 우대형 12% |
세제 혜택 | 비과세 | 비과세 |
5. 마무리
청년도약계좌는 곧 종료되지만, 청년미래적금은 더 높은 혜택과 짧은 납입 기간으로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. 가입을 고려한다면 정책 전환 시기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Tags:
support fund